차 례
|
논 제
|
저 자
|
1
|
서구 민담에서 동화로, 동화에서 애니메이션으로의
변용과정에 나타나는 정치적 전유: 그림(Grimm) 동화와
디즈니 애니메이션을 중심으로 |
권 혜 경
|
2
|
흑인 혼의 재발견과 허스턴의 『그들의 눈은
신을 보고 있었다』 |
배 윤 기
|
3
|
모리슨의 『가장 푸른 눈』: 타자 시선의 극복 전략
|
정 혜 령
|
4
|
한국계 미국소설에서 민족의 번역: 이창래의 『네이티브
스피커』를 중심으로 |
정 혜 욱
|
5
|
피터 셰퍼의『에쿠우스』‘제대로’ 읽기: 타블로
비방과 서술전략 |
임 학 순
|
6
|
새로운 주체의 가능성: 포스트휴머니즘과 윌리엄 깁슨의
『뉴로맨서』를 중심으로
|
하 상 복
|
7
|
『팸필리어가 앰필랜더스에게』에 나타난 메리 로스의
문학적 모델 찾기와 자아형성 |
홍 옥 숙
|
8
|
In Memoriam: The Way of the “Living Will” |
Kang, Sang-Deok
|
9
|
Politics of Oppression and Restoration of
Subjectivity in Genny Lim’s Bitter Cane |
Park, Yong-Nam
|
10
|
Luhmann’s Systems Theory/Postmodernism/Literature |
Suh, Young-Chul
|
11
|
영어 광고에 대한 언어학적 연구 및 교육적 활용 |
김 수 정
장 세 은
김 은 일
남 정 미
|
12
|
에피소드 구성력과 수험자의 스토리텔링
과업수행능력 분석 |
신 동 일
김 금 선
김 나 희
|
13
|
A Two-Tiered Analysis of Sequence of Tense in English |
Chung, Kyung-Sook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