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 |
Lord Jim as Heroic Romance |
저자 |
: |
김성렬 |
키워드 |
: |
Conrad, Lord Jim, romance, Frye
|
다운로드 |
: |
nka_journal_2004_46_3_01_kimsungryol.hwp |
초록 |
: |
이 논문은 콘래드의 로드 짐을 영웅적 로맨스로서 고찰한 것이다. 이
소설의 주제는 정체성의 지속을 상실한 로맨스의 본질을 반영한 것이다. 소설의 구조 또한 로맨스의 구조의
전형―밤의 세계로 내려갔다가 목가적인 세계로 귀환하는―이 되고 있다. 이 소설은 로맨스처럼 짐이 그의 도약을
설명할 수 없을 때 의식이 중단됨으로써 일련의 모험을 시작한다. 그래서 짐은 도약을 함으로써 자기 자신을
영웅으로서 평소에 품어왔던 생각을 잃게 된다... more
|
|
|
|
제목 |
: |
호손의 생태학적 사유와『브라이드데일 로맨스』쓰기 |
저자 |
: |
박양근 |
키워드 |
: |
Hawthorne, The Blithedale Romance, ecoliteracy, mechanism, pastoralism |
다운로드 |
: |
nka_journal_2004_46_3_02_parkyangkeun.hwp |
초록 |
: |
호손의 생태문학이 제시하는 방향은 개발논리와 상업주의에 의하여 억압받는
자연과 생태계의 본질에 대한 이해이다. 그런 만큼 생태적이거나 반생태적 목소리를 전달하려는 작가의 노력을
살펴보려는 현대적 해석은 호손의 작품에 남겨진 문학비평의 여백을 메울 뿐만 아니라 미국생태소설의 영역을
넓힐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more
|
|
|
|
제목 |
: |
『주홍글자』에 드러난 호손의 페미니즘
|
저자 |
: |
서석경 |
키워드 |
: |
Hawthorne, feminism, the 19th century woman movement, womanhood, new images |
다운로드 |
: |
nka_journal_2004_46_3_03_seoseokkyong.hwp |
초록 |
: |
본 논문의 목적은 19세기 미국여성운동과 호손의 주변여성을 배경으로
형성된 호손의 여성관이『주홍글자』속에서 어떻게 드러나는지 살펴보면서, 최근까지 논란이 되고 있는 ‘호손의
페미니즘’을 재고해 보고자 한다... more
|
|
|
|
제목 |
: |
계몽/반계몽의 변증법: 워즈워스의 시에 있어서의 루소와 맬더스
|
저자 |
: |
오인용 |
키워드 |
: |
Rousseau, Emile, Malthus, Essay on Population, Mind, Reason, Nature, Enlightenment, Counter-Enlightenment |
다운로드 |
: |
nka_journal_2004_46_3_04_ohinyong.hwp |
초록 |
: |
이 논문이 목표로 하는 바는 계몽의 텍스트라고 할 루소의 『에밀』와
반계몽의 텍스트라고 할 맬더스의 『인구론』을 기본적인 도구로 삼아 그것이 제시하는 두 가지의 서로 다른
자연의 관념이 그들의 논의를 익히 알고 있었던 워즈워스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그의 시에 어떤 방식으로
반영되어 있는지 살펴보는 일이다... more
|
|
|
|
제목 |
: |
예이츠의 “미친 제인 시편”에 나타난 ‘지상’과 ‘초월’ |
저자 |
: |
이경수 |
키워드 |
: |
W. B. Yeats, Crazy Jane, the earthly, the transcendental, earthly love, dualistic conflicts |
다운로드 |
: |
nka_journal_2004_46_3_05_leekyungsoo.hwp |
초록 |
: |
미친 제인의 광기 어린 열정적 발언을 통해 표면적으로는 지상적 삶을
강조하고 육체적 사랑을 구가하는 듯한 이 시편들은 ‘지상’에 대한 노래 못지 않게 ‘초월’에 대한 노래이기도
하다. “미친 제인 시편”이 사랑의 주제를 중심으로 다양한 변주를 보이면서 ‘지상’과 ‘초월’의 대립과
갈등을 극화하고, 일관성 있게 그리고 발전적으로 그 통합을 모색하는 시인의 정신적 여정을 보여주는 시편들이라는
것이 이 논문의 중심 주장이다... more
|
|
|
|
제목 |
: |
멜빌의 『피에르: 혹은 그 모호성들』에 나타난 돌의 의미
|
저자 |
: |
조재진 |
키워드 |
: |
stone symbol, rationale of evil, nature of humanity, ambiguities, nothingness |
다운로드 |
: |
nka_journal_2004_46_3_06_jojaejin.hwp |
초록 |
: |
이 글은 『피에르』에서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는 돌과 돌의 이미지의
의미규명을 통해 작품의 의미를 재해석해보려고 하였다. 돌의 의미는 리처드 플렉(Richard Fleck)의
“멜빌의 『피에르』에 나타난 돌의 이미지”라는 논문에서 논의 된 적이 있으나 플렉은 돌을 작품 속의 중요한
상징중의 하나인 메논의 돌(Memnon Stone)과 피에르 자신을 지칭하는 거대한 추상적인 돌의 이미지에
국한 시킨 감이 있다. 실제 작품 속에서 돌은 바위와 조약돌, 돌로 된 벽, 피라미드는 물론 석공과 채석장의
이미지 등 다양하게 등장한다... more
|
|
|
|
제목 |
: |
Interpreting Bellefleur |
저자 |
: |
Matsuo, Yumiko |
키워드 |
: |
Bellefleur, feminism, gothicism, violence, time and space |
다운로드 |
: |
nka_journal_2004_46_3_07_matsuoyumiko.hwp |
초록 |
: |
『벨레프로가문사』는 조이스 케롤 오츠의 대표적인 고딕소설로서 벨레프로
7대가문사를 다룬 대표작이다. 시대적, 세대적, 기교적 관점에서 미국의 대표적인 고딕소설로 평가되는 이
작품은 현대적 페미니즘적 고딕소설로 간주되는 만큼 여성적 주제성과 고딕 기법과 연관 지워 해독하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연구방향에 해당한다... more
|
|
|
|
제목 |
: |
The Darwinian World of Graham Greene's The Quiet American
|
저자 |
: |
Robert J. Perchan |
키워드 |
: |
Graham Greene, Charles Darwin, The Quiet
American, evolutionary psychology, evolutionary literary criticism
|
다운로드 |
: |
nka_journal_2004_46_3_08_robertperchan.hwp |
초록 |
: |
아름다운 베트남 여인 푸엉을 소유하기 위해 그의 연적인 앨던 파일과
경쟁할 때나 험악한 육체적 위험에 처한 위급한 순간이든 혹은 단순히 어둑하고 외진 사이공 구석을 찾아 헤맬
때에도 ?조용한 미국인? 속에서 그레이엄 그린의 주인공 토마스 파울러는, 자신이 기본적인 진화론의 법칙이라고
정의된 세상 속에서 살고 있음을 거듭 발견한다... more
|
|
|
|
제목 |
: |
Positional Variability and Glottalling in Cockney English |
저자 |
: |
구본정 |
키워드 |
: |
positional variability, weakening, glottalling,
Cockney English, syllable, coda
|
다운로드 |
: |
nka_journal_2004_46_3_09_koobonjung.hwp |
초록 |
: |
본 논문은 음운현상과 음절구조의 상관성 중 각음에서 약화현상이 빈번히
일어나는 점에 초점을 두고 있다. 각음이 음운현상을 이끌어 내는 내재적 변이성을 그 속성으로 지님을 지적하고
그러한 속성을 ‘위치적 변이성’이라 칭한다. 특히 영어의 각음에 위치한 무성저해음 /p,t,k/가 성문음
[?]으로 변화하는 양상을 보이는 영국의 코크니 영어를 분석하면서, 위치적 변이성의 개념이 이 음운현상을
인식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함을 보이고자 하였다... more
|
|
|
|
제목 |
: |
목표지향성과 언어 학습 전략 사용간의 관계
|
저자 |
: |
김용석 · 장윤상 |
키워드 |
: |
goal theory, learning goal, performance
goal, language learning strategy, functional strategy.
|
다운로드 |
: |
nka_journal_2004_46_3_10_kim_jang.hwp |
초록 |
: |
본 논문은 학습목표와 수행목표의 속성들에 따라서 외국어 학습자들이
전개시키는 학습 전략에도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more
|
|
|
|
제목 |
: |
영어와 한국어의 술어적 소유 구문 비교 연구: 영·한 번역 교육에서의 활용 방안
|
저자 |
: |
박기성 |
키워드 |
: |
possession, predicative possession, source
schema, English, Korean, translation
|
다운로드 |
: |
nka_journal_2004_46_3_11_parkkiseong.hwp |
초록 |
: |
연구자의 의도에 따라 여러 가지 형식의 문법성 판단시험이 사용되고
있으나 대체로 문법적인 문장과 비문법적인 문장을 동시에 제시하고 학습자가 문법성을 판단하게 하는 것이 가장
일반적인 형식이다. 본 논문은 문법성 판단 시험에 대한 문헌 조사를 통하여 여러 형식의 문법성 판단 시험을
비교하여 논하고, 지금까지 당연시 되어 왔던 문법성 판단 시험의 타당도와 신뢰도에 대한 문제를 제기한다...
more
|
|
|
|
제목 |
: |
혼합어를 사용한 동기적인 CMC의 활용이 초등학교 영어 학습자의 문자 중심 의사소통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
저자 |
: |
이병천 |
키워드 |
: |
CMC, English in an elementary school, communicative ability, text based assignment |
다운로드 |
: |
nka_journal_2004_46_3_12_leebyeongcheon.hwp |
초록 |
: |
본 논문에서는 영어와 모국어의 혼합어의 사용, 그리고 교과 외 시간을
이용한 컴퓨터매개통신(Computer Mediated Communication: CMC)의 활용을 통한
연구를 하게 되었다. 또한 초등학교 영어 교육과정에서 요구하는 문자를 통한 의사소통 영역을 각 단원별로
추출하여 학습자들의 통과율과 그 향상도를 나타내어, CMC 효과가 미치는 정도를 더욱 자세하게 알아보고자
하였다... more
|
|
|
|
제목 |
: |
A Constraint-Based Approach to Rightward Extraction in Korean |
저자 |
: |
정찬 |
키워드 |
: |
rightward extraction, topic, scrambling, root phenomenon, resumptive pronoun, NPI scope, unbounded dependency, valence composition |
다운로드 |
: |
nka_journal_2004_46_3_13_chungchan.hwp |
초록 |
: |
본 연구는 논항이나 수식어구가 동사 우측에 나타나는 우측 추출 현상에
대한 핵어중심 구구조문법 (HPSG)의 분석을 제시한다. 우측 추출 구문은 통사적인 성질에 있어서 주제어
구문과 뒤섞임 구문의 성질을 공유하고 있다. 이런 성질 공유는 추출 제약, 뿌리 현상, resumptive
대명사 결속, 부정극어 영역 현상 등을 통해 나타난다. 이런 성질은 HPSG 이론 내에서 독자적으로 설정한
이미 존재하는 여러 제약과 장거리 뒤섞임 현상이 항가복합 (valence composition)이라는 장치에
의해 이루어진다는 전제로 설명되어진다. 또한 새로운 [EXTRA] 자질의 도입과 이를 이용한 어순규칙이
설정된다... more
|
|
|
|
제목 |
: |
반어에 대한 화행적 고찰 |
저자 |
: |
정희자 |
키워드 |
: |
irony, communication goals, assertive, directive, expressive, commissive irony, socio-functional effects, jocularity, sarcasm, solidarity |
다운로드 |
: |
nka_journal_2004_46_3_14_chonghija.hwp |
초록 |
: |
비문자적 발화로서 반어에 대한 연구는 매우 소극적이었으며, 그것도
주로 ‘반어가 무엇인가’ 또는 ‘반어가 어떻게 이해되나’에 초점을 두어 이루어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반어에 대한 일치된 정의조차 내리지 못하고 있으니 이 또한 아이러니한 현상이다. 더욱이 ‘왜 일상 언어에서
반어를 사용하는가’에 대해서는 큰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는 구어적 반어가 화행(speech
acts)으로서 어떤 목적으로 사용되며 어떤 효과를 내는가를 살펴보기로 한다... more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