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 |
사람의 무늬와 학문의 소통 |
저자 |
: |
이왕주 |
다운로드 |
: |
nka_journal_2000_42_2_01_leewangjoo.hwp |
초록 |
: |
모든 학문이 동굴 바깥으로 나와야 한다는 것은 현실성 있는 대안도,
결국 이상적인 대안도 아니다. 우리는 저 완강한 동굴벽의 불투명성에 틈과 균열들을 만들어 그것으로 안과
바깥이 통풍되는 학제적 소통을 제안하는 수준에 머물려 한다. 그래도 그것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학적 탐구의
이념이 수정되어야 하고 발문의 방식도 바뀌어야 하고 글쓰기의 전범 또한 환골탈태 되지 않으면 안된다. 그러나
이 글에서는... more
|
|
|
|
제목 |
: |
인류학과 문학적 상상력 |
저자 |
: |
장수현 |
다운로드 |
: |
nka_journal_2000_42_2_02_changsoohyun.hwp |
초록 |
: |
이 글에서는 상상력의 자극이라는 점에서 문학이 인류학에 미친 영향을
간략하게 살펴보고자 한다. 지면의 제약과 능력의 부족 때문에 인류학 분야 전반을 포괄적으로 살펴볼 수는
없다. 여기서는 몇몇 개별 인류학자의 학문적 성과에 국한시켜 문학적 상상력이 인류학자의 문화 해석(interpretation)과
재현(representation)에 어떤 공헌을 했는지를 보여주고자 하며, 아울러 인류학적 글쓰기에 대한...
more
|
|
|
|
|
|
|
제목 |
: |
|
저자 |
: |
김봉광 |
다운로드 |
: |
nka_journal_2000_42_2_04_kimbonggwang.hwp |
초록 |
: |
헨리 제임즈의 소설 『귀부인의 초상』 결미에서 여주인공 이자벨 아처는
억압적인 남편과의 불행한 결혼생활을 계속하기로 결정한다. 이 글은 소설 텍스트에 명시되지 않은 이자벨의
최종결정의 이유를 역사적인 접근방법을 사용하여 규명하고자 하는 시도이다. 그 과정에서 19세기 후반 영국의
결혼제도와 그에 관련된 문제들―성도덕, 이혼제도―이 당시 여성들에게 억압적이었다는 사실을 밝힌다... more
|
|
|
|
|
|
|
|
|
|
|
|
|
제목 |
: |
|
저자 |
: |
배만호 |
다운로드 |
: |
nka_journal_2000_42_2_08_baemanho.hwp |
초록 |
: |
본 논문에서는 존 파울즈의 작품을 최근 포스트모더니즘으로 지칭되는
광범위한 문화 운동 내의 글쓰기의 한 양식인 메타픽션 이론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있다. 영미 비평가들이 지적하듯이
파울즈는 포스트모더니즘의 시학에 독창적인 기여를 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의 소설에 나타난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성을 통해 새로운 소설 창작의 가능성을 끊임없이 탐색하고 있음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more
|
|
|
|
제목 |
: |
The Postmodern Fin de Siecle: (the Fear) of Death |
저자 |
: |
서영철 |
다운로드 |
: |
nka_journal_2000_42_2_09_suhyoungchul.hwp |
초록 |
: |
19세기 세기말은 지식인, 예술가, 무정부주의자등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이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분야에 팽배하게된 불안 심리를 표출한 시기였다. 특히 정치적으로는 제국들이 쇠퇴하였으나,
현대화를 통한 군사 대국화와 막바지 제국주의가 기승을 부리게되고, 이런 시대 상황은 필연적으로 전쟁의 공포,
혹은 죽음(의 공포)에 대한 불안을 일반 대중에게 야기 시켰다. 따라서 불안, 불확실성, 공포, 허무,
퇴폐등으로... more
|
|
|
|
제목 |
: |
수사적 절제의 시학: 현대 미국시에 대한 한 관점 |
저자 |
: |
윤희수 |
다운로드 |
: |
nka_journal_2000_42_2_10_yoonheesoo.hwp |
초록 |
: |
흔히 극단적으로 서로 다른 성향을 보여준다고 평가되는 두 사람의 현대
미국 시인 에즈러 파운드(Ezra Pound)와 월러스 스티븐즈(Wallace Stevens)에게서, 그
표면적 이질성에도 불구하고 이들이 은밀하게 공유하는 모더니즘 시학의 공통분모를 찾아내고 또한 그것이 후대의
미국 시인들에게 어떻게 반복되어 나타나는지를 알아보려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이 과정에서 이미지즘
이후의 현대 미국시를 관류하는... more
|
|
|
|
|
|
|
|
|
|
|
|
|
|
|
|
제목 |
: |
인칭자질과 확대투사자질 |
저자 |
: |
김대익 |
다운로드 |
: |
nka_journal_2000_42_2_15_kimdaeik.hwp |
초록 |
: |
본 글은 인간이 가진 언어능력은 불필요한 부분이 없는 가장 완벽한
형태로 존재한다는 입장에 입각하여 위와 같은 비 해석자질들의 설정도 최소화된다고 보고 Chomsky(1999)의
이론을 받아들이지만 EPP자질을 비 해석 자질로 설정했던 논의들은 그렇게 설득력이 없음을 보이고 대신에
EPP의 기능은 기능범주의 비 해석자질 Φ-자질 중에 인칭(Person)자질의 유무로 그 기능을 대체할
수 있다는 점을 보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more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