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소식         회원동정

2025년 가을 새한학술대회 Call For Papers

작성자 : 김경희
조회수 : 28

2025년 새한영어영문학회 가을 학술대회

2025 Fall Conference of the New Korean Association of English Language & Literature

 

안녕하십니까?

새한영어영문학회 2025년 가을 학술대회를 다음과 같은 주제로 개최하오니, 관심있는 선생님들께서는 발표 신청을 해주시기 바랍니다. 지정된 주제 외에 기타 자유주제로 발표하는 것 또한 환영합니다. 평소 연구하고 계신 것을 이번 학술대회를 계기로 다른 연구자들과 공유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주제 AI 시대의 세계와 행성: 인간과 비인간의 공존

(The World and the Planet in the Era of AI: The Coexistence of Human and Nonhuman)

 

일시: 20251025() 11:00 ~18:00

장소: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경영관

      기조연설: AI 시대의 문학의 미래 (김용규 교수, 부산대 영어영문학과)

 

현재 생성형 인공지능의 비약적 발전과 확산은 우리의 삶과 사고 방식을 변화시킬 뿐만 아니라 학문 자체의 기초에 대한 변화까지 강요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대 전환기 속에서 우리는 다시금 인문학의 역할을 사유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인간이 살아가며 경험하는 세계와 인간중심적 가치 및 제도 너머 생태계로서의 행성이라는 개념에 기대어 AI가 우리의 존재 방식, 물리적 환경, 그리고 상상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함께 탐구하고자 합니다. 언어, 문학, 이론, 예술, 문화 등 다양한 영역에서 인간과 비인간의 경계, 상호작용, 공존의 윤리를 모색하는 연구를 환영합니다. 이러한 탐색은 인간과 비인간 존재의 새로운 관계 맺기를 상상하고, 인문학적 사유의 지평을 넓히며, 이른바 ‘AI 시대의 파고를 헤쳐나갈 힘을 기르는 계기가 될 것입니다.

 

Now, the rapid development and widespread adoption of generative AI are not only transforming our everyday lives and modes of thought but also compelling us to re-examine the very foundations of academic inquiry itself. At this moment of profound transition, it is all the more urgent to reflect on the role of the humanities. This conference seeks to explore how AI shapes our ways of being, our material environments, and our imaginative capacities, through the lens of the worldas the space of lived human experienceand the planetas an ecological condition that exceeds anthropocentric values and institutional boundaries. We welcome research that investigates the shifting boundaries, interactions, and ethics of coexistence between the human and the nonhuman across diverse domains such as literature, language, theory, the arts, and culture. Through such inquiries, we hope to envision new relational modes between human and nonhuman beings, expand the horizons of humanistic thought, and cultivate the capacity to navigate the waves of what is often called the “AI era.”

 

이와 관련한 세부 주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AI와 인간 존재의 재구성

AI와 영어영문학 연구의 변화 및 역할

생성형 AI로 인한 새로운 지구적 감수성의 가능성

문학 속 비인간 타자의 윤리: AI동물기계식물과의 공존 서사

비인간 감각 및 정동의 서사화와 신체-기술의 상호작용

AI와 폭력: AI는 폭력의 감소에 기여하는가, 증폭시키는가?

AI 시대의 윤리적 읽기’: 문학은 타자와의 공존을 어떻게 사유하는가?

생성형 AI와 서사적 상상력: 작가, 텍스트, 창작의 경계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속 언어 변화와 정체성 변화

문학과 언어에서의 교수법 변화

문학과 언어 연구에서 AI 사용에 대한 비판적 접근

생태비평과 AI: 인공지능이 구축하는 자연의 이미지와 생태계의 정치성

AI, 젠더, 인종: 알고리즘은 누구를 배제하고 누구를 재현하는가?

기타 자유주제

 

 

Suggested topics include: 

Reconfiguring human existence in the era of AI

The changing roles of the study of English language and literature in an AI-driven world

New planetary sensibilities and the global imagination in the era of generative AI

The ethics of nonhuman others in literature: narratives of coexistence with AI, animals, machines, and plants

Narrativizing nonhuman affects and senses: interactions between bodies and technologies

AI and violence: does AI mitigate or amplify violence?

Ethical reading in the era of AI: literary imagination and the coexistence with the other

Generative AI and narrative imagination: rethinking authors, texts, and creativity

Language change and identity in digital communication

Pedagogical shifts in language and literature education

Critical perspectives on AI in literature and language studies

Ecocriticism and AI: constructed natures and the politics of the ecological imagination

AI, gender, and race: whom do algorithms represent and whom do they exclude?

Other free topics are also welcome

 

< 발표 신청 및 마감 일정 >

이번 학술대회에서 발표하실 의향이 있으신 분들은 다음과 같은 일정에 따라 신청해 주십시오.

- 발표 신청: 91일 월요일 마감 (발표 제목과 함께 신청) 각 파트 학술이사에게 신청

- 발표 요약문: 104마감. 각 학술이사에게 전송 (A4 3-4매 분량 학술대회 자료집 게재용)

- 학술대회 발표문: 1014일 화요일 마감. 각 학술이사에게 전송 (토론자 공유용)

(문학) 최성희 학술이사 (pypmk@hotmail.com)

(어학) 이지연 학술이사 (think2ce@naver.com)

한국연구재단의 권고에 따라 연구요약문 및 발표문 작성 시 생성형 AI 도구를 사용한 내역을 기술할 것을 권장합니다.

 

<학술발표회 발표 시 인센티브 안내>

새한학술발표회 발표문을 발전시켜 학술발표회 후 1년 이내 게재된 단독 논문의 경우 게재료를 면제합니다. 이 경우, 논문 1면에 새한학술발표회 발표 사실을 명기합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