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 |
여성시인의 감수성의 시학: 앤 이어슬리와 애너 바볼드의 시를 중심으로 |
저자 |
: |
강옥선 |
키워드 |
: |
poetics of sensibility, sympathy, capacity
for feeling, Romantic women poetry, Ann Yearsley, Anna Barbauld
|
다운로드 |
: |
nka_journal_2003_45_2_01_kangoksun.hwp |
초록 |
: |
본 논문에서는 낭만기 여성시인의 텍스트를 중심으로 감수성의 시를 다시
읽고자 한다. 물론 작업의 범위가 18세기 후반부터 19세기 초반에 이르는 낭만기 여성시인 전반에 대한
연구로 확장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되지만, 우선 낭만기 초기의 두 여성시인, 이어슬리(Ann Yearsley)와
바볼드의 시를 중심으로 그들의 텍스트에 내재되어 있는 감수성의 시학을 탐색해 보고자 한다... more
|
|
|
|
|
|
|
제목 |
: |
|
저자 |
: |
김옥수 |
키워드 |
: |
Utrecht, imperialism, absences, silences,
gaps, peace, liberty, slavery, humanism, Augustanism, Pax
Britannica
|
다운로드 |
: |
nka_journal_2003_45_2_03_kimogsoo.hwp |
초록 |
: |
이 글은 마슈레이의 전략을 원용하여, 포프가 이 시에서 말하지 않으려는
것, 침묵하려는 것, 숨기려는 것이 무엇인지 먼저 규명하고, 이어서 이 시가 말하지 않으려는 것과 이 시가
의식적으로 말하려고 하는 것을 함께 읽어보고자 한다. 그러므로 이 글은 이 시를 위트레히트 조약이라는 역사적
맥락에 복원시켜, 그 조약과 관련하여 이 시를 검토하되, 시인이 시 속에서 말하지 않으려는 점, 의미상의
모순들을 중심으로 읽어보며 이 시를 다시 살펴보고자 한다... more
|
|
|
|
제목 |
: |
|
저자 |
: |
김철수 |
키워드 |
: |
vacillation, absolute power of death,
individuality, antinomy, tragic joy, tragic lyricism
|
다운로드 |
: |
nka_journal_2003_45_2_04_kimchulsoo.hwp |
초록 |
: |
이 글은 테제와 안티테제의 모순대립 구도 내에서 예이츠의 비극적 체험이
구성되는 방식에 다가가 보려는 노력의 일환이다. 이를 위해 필자는 예이츠의 후기시 중에서도 대립적 요소들간의
모순과 대립을 풍부하게 담고있다고 여겨지는 [출렁이는 마음]을 대상으로 비극적 서정성의 테제에 다가가 보고자
한다... more
|
|
|
|
제목 |
: |
여성시인과 남성뮤즈: 실비아 플라스 시 속의 아버지 |
저자 |
: |
박령 |
키워드 |
: |
father, male muse, woman poet, patriarchal
literature, male-centered language, colossus
|
다운로드 |
: |
nka_journal_2003_45_2_05_parkryung.hwp |
초록 |
: |
이 논문에서는 소녀 시 [비가]('Lament')에서부터
초기 시 [친애하는 모든 사자(死者)들]('All the Dead Dears'), [뱀
부리는 사람]('Snakecharmer'), [꼬박 다섯 물길]('Full Fathom
Five'), [어제일리어 패스 위의 일렉트러]('Electra on Azalea Path')를
거쳐 원숙기의 시 [거상]('The Colossus')과 [아빠]('Daddy')에
이르기까지 플라스의 주요 아버지 시편 속에 그려진 아버지와 시인의 관계의 변모를 살펴본 후, [에어리얼]('Ariel')에서의
시인의 궁극적인 예술적 지향을 살펴봄으로써 여성시인으로서 플라스 시학의 중심에 닿아보고자 한다... more
|
|
|
|
제목 |
: |
|
저자 |
: |
심미현 |
키워드 |
: |
Brian Friel, Molly Sweeney, Translations, Gaelic Ireland, postcolonial Ireland |
다운로드 |
: |
nka_journal_2003_45_2_06_shimmihyun.hwp |
초록 |
: |
본고는 『몰리 스위니』의 여주인공 몰리가 역사적 변천 과정에 있는
아일랜드를 구체화한 역동적인 상징이자, 동시에 탈식민주의 아일랜드에서 남성의 피식민주체로 살아가는 현대
아일랜드 여성의 상징으로 어떻게 드러나고 있는지를 밝힘으로써 아일랜드의 과거와 현재를 재조명하고자 한다.
이러한 작업은 프리엘의 극을 단지 '편파적인 민족주의 정치학'을 드러내는 극으로 일축하는
브라이언 맥에버라 (Brian McEvera)를 위시한 일부 비평가들의 시각(Kearney 1987, 510)이
잘못된 것임을 더불어 밝혀주게 될 것이다... more
|
|
|
|
제목 |
: |
사뮤엘 베케트의 『내가 아니야』: 언어의 육체화와 인물의 탈육체화 |
저자 |
: |
이수경 |
키워드 |
: |
Not I, disembodiment, corporeality of language |
다운로드 |
: |
nka_journal_2003_45_2_07_leesukyung.hwp |
초록 |
: |
베케트의 글쓰기는 '백지 상태에 다다를'(produce
a white page in the end) (Wulf 123)정도로 해체와 축소의 과정을 거쳐 침묵으로
나아간다. 간결한 양식을 추구하는 베케트의 글쓰기는 군더더기를 걷어내면서 불특정의 장소와 시간, 고립된
육체, 소통되지 않는 언어, 사이, 침묵 등을 통해 여백의 영역을 넓혀 나간다. 마틴 에슬린(Martin
Esslin)이 베케트의 후기극을 가리켜 '전통적인 연극의 형태로 존재하던 요소들을 응축하여 집중시킨다'(119)고
말한 것처럼, 축소된 언어와 응축된 시청각적 이미지를 특징으로 하는 후기극으로 갈수록 여백의 중요성은 부각된다...
more
|
|
|
|
제목 |
: |
|
저자 |
: |
이현석 |
키워드 |
: |
objectivity, value, theory, modernity, discourse |
다운로드 |
: |
nka_journal_2003_45_2_08_leehyunseok.hwp |
초록 |
: |
'취미는 사람마다 제각각'이라는 말도 있듯이 문학
작품에 대한 평가는 사람에 따라, 지역에 따라, 시기에 따라 달라지는 경우가 잦다. 문학사를 보면 현대인들이
위대하다고 생각하는 작가들을 낮춰 보거나 함량미달의 작가들을 터무니없다 싶을 정도로 높게 평가했던 예들을
얼마든지 찾아 볼 수 있다. 문학 작품에 대한 평가의 이모저모를 논하는 일의 어려움은 문학 제도 자체가
근대의 산물이라는 사실로 인해서 더욱 커진다... more
|
|
|
|
제목 |
: |
|
저자 |
: |
장정훈 |
키워드 |
: |
Philip Roth, The Breast, The Professor of Desire, David Alan Kepesh, Metamorphosis |
다운로드 |
: |
nka_journal_2003_45_2_09_jangjunghoon.hwp |
초록 |
: |
로스의 『유방』과 『욕망의 교수』에서 주인공 케페쉬는 유대성을 초월해
모든 인간에게 해당되는 이성과 성적 욕망의 갈등이라는 보편적인 문제에 직면한다. 케페쉬는 이성과 육체적
욕망의 부조화로 심한 갈등을 겪으며 사물의 본질과 핵심을 볼 수 있는 균형감각을 상실한다. 하지만 그는
자신의 내적 혼란을 극복하고 삶의 의미를 찾고자 한다. 그는 자신의 삶을 변화시키고 자신의 잠재력과 가능성을
확대하려고 최선을 다한다. 그는 자아도피적인 태도에서 벗어나 객관적 시야를 가지고 인간의 본성과 처지를
탐색하고 나와 타인의 관계 속에서 새롭게 변모된 자아를 갖고자 한다... more
|
|
|
|
제목 |
: |
|
저자 |
: |
최수연 |
키워드 |
: |
liberalism, paternalism, colonial imperialism,
white supremacy, the spirit of autonomy, protestant labor
ethics, the self-portrait of America
|
다운로드 |
: |
nka_journal_2003_45_2_10_choisooyeon.hwp |
초록 |
: |
『압살롬, 압살롬!』은 주인공 토마스 섯펜(Thomas Sutpen)의
집안 역사를 네 명의 서로 다른 화자가 서술한 것을 모아 놓은 소설이다. 물론 네 명은 바라보는 각자의
시각에 따라 섯펜을 조금 씩 다르게 평가한다. 그러나 이 화자들 가운데 퀜틴 캄슨(Quentin Compson)은
다른 화자들의 이야기를 직 간접으로 들은 것을 바탕으로 이 소설에 나오는 중요한 사건들을 모두 다루면서
섯펜의 집안 역사를 재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퀜틴을 『압살롬, 압살롬!』의 중심화자로 보는 것은 큰 무리가
아니다... more
|
|
|
|
제목 |
: |
|
저자 |
: |
권미분 |
키워드 |
: |
Quantifier Raising, Shortest Condition,
Double object Construction, ACD Construction
|
다운로드 |
: |
nka_journal_2003_45_2_11_kwonmiboon.hwp |
초록 |
: |
양화사 인상(Quantifier Raising)은 양화사 특유의 통사적
이동으로 양화사 간의 계층 순서를 변화시키고, 양화사의 작용역 변화에 따른 문장의 중의적인 해석을 생성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양화사 인상이 최소주의에 입각하여 동사구가 양화명사구를 포함하는 경우 v가 양화자질
[Quant]를 가지게 되고, 이 자질이 양화명사구의 [Quant]를 유인하여 vP의 외곽지정어 자리에
전체 양화명사구를 수반이동 시킨다고 가정하고, 이러한 양화사 인상이 다른 통사적 이동과 마찬가지로 최단거리조건(Shortest
Condition)이라는 국소성 조건을 준수하는지를 검토해 보고자 한다... more
|
|
|
|
제목 |
: |
젠더와 의사소통전략에 관한 소고 |
저자 |
: |
김귀순 |
키워드 |
: |
power, gender, communicative strategy, women's language |
다운로드 |
: |
nka_journal_2003_45_2_12_kimkweesoon.hwp |
초록 |
: |
본 논문에서는 언어사용자들의 이러한 심리적 과정과 사회조직이 반영된
젠더별 의사소통전략의 차이점을 서술형, 의문형, 명령형, 공손형 등으로 나누어 설명하고 사회적 힘의 차이에
의한 사회적 약자의 언어와 젠더와는 어떠한 상관 관계가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more
|
|
|
|
제목 |
: |
|
저자 |
: |
박기성 |
키워드 |
: |
complementizer, de dicto, de re, Interclausal
Relations Hierarchy, semantic factors, implicativity, complementizer
choice
|
다운로드 |
: |
nka_journal_2003_45_2_13_parkkiseong.hwp |
초록 |
: |
본 논문은 한국어 일본어 영어의 일련의 보문소의 의미론(화용론)을
살펴보는 것이다. 보문소의 의미론에 관한 연구는 1960년대와 1970년대에 주로 영어를 대상으로 이루어졌고,
1980년대 이후 주로 기능유형론적 연구들과 인지언어학적 연구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도
이러한 전통 속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비교 연구를 통한 각 언어 간의 차이점과 평행성(parallelism)을
연구하고자 한다... more
|
|
|
|
제목 |
: |
적합성 이론의 비평적 개관 |
저자 |
: |
송경숙 |
키워드 |
: |
Relevance Theory, Cooperative Principle,
Politeness Principle, Optimal relevance, Cognitive Environment
|
다운로드 |
: |
nka_journal_2003_45_2_14_songkyongsook.hwp |
초록 |
: |
본 논문에서는 Sperber & Wilson(1986)의 적합성 이론을 비평적 관점에서 개관한다. 우선 Ⅱ절에서는 Sperber & Wilson(1986)의 적합성 이론을 논의한다. Ⅲ절에서는 적합성 이론에 대한 비평들을 Grice(1975)의 협력 원리와 비교하면서 재조명하고, Ⅳ절에서는 적합성 이론을 화행론과 연계한 Haft-van Rees(1989)의 4가지 적합성 유형을 소개한다. 마지막으로 V절에서 본 논문에서 논의된 것을 요약·정리한다... more
|
|
|
|
제목 |
: |
영어 어말 주강세의 최적성이론 분석 |
저자 |
: |
이용성 |
키워드 |
: |
English stress, primary stress, Ft'Harmony, Optimality theory, syllable weight |
다운로드 |
: |
nka_journal_2003_45_2_15_leeyongsung.hwp |
초록 |
: |
본고에서는 기존의 강세이론을 바탕으로 마지막음절에 주강세가 나타나는
경우를 살펴보고 이를 체계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주된 제안으로서는 주강세를
지니는 머리음보 (head foot)는 한 운율단어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곳으로 그곳에는 특정한 양호성제약
(Harmony Constraint)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more
|
|
|
|
제목 |
: |
영어 도치구문과 EPP |
저자 |
: |
이 은 정·안 동 환 |
키워드 |
: |
Inversion Constructions, EPP, Move |
다운로드 |
: |
nka_journal_2003_45_2_16_leean.hwp |
초록 |
: |
본 논문은 영어의 도치구문을 Chomsky(2000, 2001)의
최소주의의 틀 안에서 분석하여, 도치구문에서 문두로 이동하는 요소에 관련기능범주의 확대투사원리(Extended
Projection Principle: EPP)를 충족하기 위한 조작이 적용된다는 것을 밝히려고 한다.
영어에는 많은 도치구문들이 있지만 본 논문에서는 there-구문, 장소구 도치구문, 인용구 도치구문, 형용사
도치구문 등을 일치와 EPP를 중심으로 분석한다... more
|
|
|
|
제목 |
: |
현대영어동사 변화의 통시적 관찰 |
저자 |
: |
조두상 |
키워드 |
: |
weak verb, strong verb, Middle English, Modern English |
다운로드 |
: |
nka_journal_2003_45_2_17_chodoosang.hwp |
초록 |
: |
본 논문은 현대영어에서 몇몇 강변화 동사가 약변화 동사로 전환됐거나
전환 중인 것이 있고, 또한 반대로 몇몇 약변화 동사도 강변화 동사로 전환됐거나, 전환 중에 있는 동사가
있는데, 이러한 변화에 참여하고 있는 동사들에 대하여 그들의 과거나 과분에 두 가지 형태를 그 동사들의
옛날 형태를 비교하고자 고영어와 중영어 때의 과거와 과분을 찾아보면 그들의 변천과정을 추적해 볼 수가 있을
것이고 또 그 형태들이 언제 둘이 되었으며, 어떻게 변화되려고 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얻고자 한다... more
|
|
|
|
제목 |
: |
보문자(C) 자질과 That-흔적 효과 |
저자 |
: |
하명호 |
키워드 |
: |
Complementiser feature, That-t effect, Stylistic fronting, EPP-feature checking |
다운로드 |
: |
nka_journal_2003_45_2_18_hamyoungho.hwp |
초록 |
: |
본 논문은 that-흔적 효과에 대한 이런 이전의 분석을 Chomsky
(1998, 1999)의 최소주의이론의 틀 속에서 재분석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자 한다. 먼저 Chomsky(1998,
1999)의 가정에 따라 that-흔적 효과를 분석하여 그 문제점이 무엇인지 살펴본다. 아울러 Chomsky(1998,
1999)와는 다른 가정에 근거해서 that-흔적 효과를 분석한 Szczegielniak(1999)의 분석을
논하고, 그 문제점이 무엇인지 살펴보며, 끝으로 그 대안이 될 수 있는 분석을 제안하고자 한다... more
|
|
|
|
제목 |
: |
|
저자 |
: |
홍순현 |
키워드 |
: |
[n]-Insertion, Parameterization, Dialectal Variation, Sino-Korean Compounds |
다운로드 |
: |
nka_journal_2003_45_2_19_hongsoonhyun.hwp |
초록 |
: |
한국어에서 [n] 삽입현상은 순수한국어와 한자어에서 복합어의 단어와
단어 경계에서 [n]이 삽입이 되는 현상이다. 본 논문에서는 순수한국어와 한자어에서의 [n] 삽입현상이
서로 다른 단어의 형태구조에도 불구하고 같은 현상으로 취급될 수 있으며 또한 최적이론의 틀 속에서 규칙기반의
분석보다 더 쉽게 분석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특히 한자어에서의 [n] 삽입현상이 Hong 2002에서
분석된 순수한국어 [n] 삽입현상과 동일하게 분석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more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