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제목 |
: |
포스트휴먼의 위기: 사이버·버츄얼 문학 읽기 |
저자 |
: |
김 상 구·전 봉 철 |
키워드 |
: |
기계론, 정보, 포스트휴먼 |
다운로드 |
: |
nka_journal_2002_44_1_01_kimjun.hwp |
초록 |
: |
포스트휴먼의 담론은 놀라울 정도로 생명력 있는 고도기술 앞에서 무기력해져
가는 전통적 인간의 위험스러운 모습을 탐구하려는 것이 아니라, 주체는 하나의 구성물이라는 탈근대적 인식틀을
과학적 담론으로 재구성함으로써 새로운 인간 주체의 양상을 포스트휴먼의 이름으로 조명한다. 푸코(Michel
Foucault)가 인간이란 개념이 창안된 지 얼마 안 되는 개념이며 이제 사라져 가는 개념일 뿐이라고
주장했듯이(386)... more
|
|
|
|
제목 |
: |
문학연구에서 문화연구로: 80년대 이후 영국이론의 변화 |
저자 |
: |
김용규 |
키워드 |
: |
영국이론, 문학연구, 문화연구 |
다운로드 |
: |
nka_journal_2002_44_1_02_kimyonggyu.hwp |
초록 |
: |
80년대 중·후반에 영국 내에서도 대처주의의 성격을 둘러싸고 치열한
논쟁이 전개되었다. 홀의 주장은 그 논쟁의 한쪽 입장을 대변하는 것이었다. 홀은 대처주의가 시민사회를 부정하고
매스 미디어를 통해 대중들을 직접 공략하는 점에 주목하여 그것을 문화담론적인 방식으로, 곧 헤게모니 전략으로
규정하였다. 그러나 그의 문화주의적 입장은 영국사회의 축적구조 변화를 분석해온 몇몇 이론가들에 의해 비판받게
된다... more
|
|
|
|
제목 |
: |
|
저자 |
: |
박현아 |
키워드 |
: |
에드워드 본드, 공격효과, 관객의식 |
다운로드 |
: |
nka_journal_2002_44_1_03_parkhyuna.hwp |
초록 |
: |
본 논문에서는 당시 영국의 시대 상황과 관련지어 사회 정치적 문제에
대한 본드의 관심이 『이른 아침』에서 어떻게 형상화되는지, 관객의 감정적 개입과 지적 판단을 유도해 내려는
작가의 의도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more
|
|
|
|
제목 |
: |
|
저자 |
: |
서영철 |
키워드 |
: |
postmodernism, poststructuralism, ecology |
다운로드 |
: |
nka_journal_2002_44_1_04_suhyoungchul.hwp |
초록 |
: |
생태주의 관련 논쟁은 자연을 어떻게 이해하는가 하는 문제로부터 출발한다.
자연이 인간 가치의 중심이지만, 인간은 단지 자연의 일부라는 전제에서 인간과 자연간의 관계는 인간과 환경
그리고 그 결과로 생겨나는 생태에 관한 문제로 이어지게 된다. 생태에 대한 인식은 시대에 따라 변해 왔으며,
특히 중세 시대에 나타난 두 가지 견해는 현재 직면하고 있는 생태 문제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more
|
|
|
|
|
|
|
|
|
|
제목 |
: |
제임스 딕키의 작품에 나타나는 이중성 연구 |
저자 |
: |
윤석임 |
키워드 |
: |
제임스 딕키, 이중성, 상반성 |
다운로드 |
: |
nka_journal_2002_44_1_07_yunsukim.hwp |
초록 |
: |
딕키의 작품에 드러나는 이중성(duality)문제에 연구의 초점을
맞추어, 이중성이 딕키의 작품에 어떻게 구현되어 있는지 살펴보고, 딕키가 그의 작품 속에 대립적 양상들을
제시함으로써 획득하고자 한 효과 내지는 그가 독자들에게 전하고자 했던 정서가 무엇이었는지를 조명해 보고자
한다. 2, 3장에서는 전기적인 접근방식을 사용하여 딕키의 이중성추구 경향의 근원과 목적을 알아보고, 4장에서는
딕키의 작품에 드러나는 정신과 육체, 과거와 현재, 여성과 남성, 자아와 타자, 삶과 죽음과 같은...
more
|
|
|
|
제목 |
: |
|
저자 |
: |
이규명 |
키워드 |
: |
전이(transference), 역전이(counter-transference), 아갈마(agalma) |
다운로드 |
: |
nka_journal_2002_44_1_08_leekyumyoung.hwp |
초록 |
: |
기표(signifier)로부터 기의(signified)의 무한한 확산을
주장하지만 오히려 기원으로의 환원을 열망하는 듯 '프로이트로의 회귀'(Return to
Freud)를 주장하는 라캉(Jacques Lacan)은 주관적, 개인적, 퇴행적인 '소망'(wish)에
관한 프로이트의 관점과는 달리 상호주관적, 대중적, 미래지향적인 '욕망'(desire)의
관점을 견지한다. 프로이트 이론에서 '소망'은 어머니의 역할이 결정적인, 과거의 만족이나
좌절과 연관된 기억이나 영상의 재개를 의미한다. 그러나 라캉은 구조주의적 언어학에 기초한 이론을 통해...
more
|
|
|
|
제목 |
: |
『유령 트리오』의 반복과 시점의 해체 |
저자 |
: |
이수경 |
키워드 |
: |
유령 트리오, Ghost Trio, 반복, 시각 이미지 |
다운로드 |
: |
nka_journal_2002_44_1_09_leesukyung.hwp |
초록 |
: |
본고에서는 먼저 시점의 변화를 예고하는 공간의 탈질료화(dematerialization)
현상과 반복적 보기를 유도하여 프레임을 낯설게 만드는 방식, 그리고 그러한 다시 보기의 전략이 프리액션,
액션, 리액션을 반복하는 동안 시점의 해체를 이끄는 것 등에 주목함으로써, 베케트의 시각 이미지가 언어의
실패를 재현한 글쓰기의 연장임을 살펴보고자 한다... more
|
|
|
|
|
|
|
|
|
|
제목 |
: |
포스트휴먼의 위기: 깁슨, 핀천, 애커를 중심으로 |
저자 |
: |
조 일 제·정 혜 욱 |
키워드 |
: |
포스트휴먼, 핀천, 깁슨 |
다운로드 |
: |
nka_journal_2002_44_1_12_chojeong.hwp |
초록 |
: |
사이버펑크의 기수로 평가되는 윌리엄 깁슨(William Gibson)과
사이퍼펑크 문학의 형성에 많은 영향력을 미쳤다고 평가되는 토머스 핀천(Thomas Pynchon), 그리고
마지막으로 사이버펑크 이후, 사이버펑크으 영향 하에서 새로운 글쓰기를 시도한 캐시 애커(Cathy Acker)의
소설을 중심으로 그들이 묘사하고 있는 포스트휴먼의 양상과 고도 기술 사회에 대한 그들의 대응 전략을 살펴보기로
하겠다... more
|
|
|
|
제목 |
: |
『포인턴의 소장품』: 미, 소유, 그리고 도덕 |
저자 |
: |
최경도 |
키워드 |
: |
미, 소유, 도덕 |
다운로드 |
: |
nka_journal_2002_44_1_13_choikyongdo.hwp |
초록 |
: |
헨리 제임스(Henry James)의 『포인턴의 소장품』(The Spoils
of Poynton, 1897)은 소유의 문제, 보다 정확히는 미와 소유와 도덕의 관계를 다루고 있는 작품이다.
이러한 문제는 처음부터 제임스의 관심이 되었지만, 특히 후기 소설에서 물질적 소유의 문제는 작품 속에 전개되는
많은 갈등의 직접적 요인이 된다. 제임스의 문학에서 물질적 소유는 등장인물들의 상황을 표현하는 외적 장치에
머물지 않고... more
|
|
|
|
제목 |
: |
The Culture of Surveillance |
저자 |
: |
Vincent P. Pecora |
키워드 |
: |
surveillance, Foucault |
다운로드 |
: |
nka_journal_2002_44_1_14_vincentpecora.hwp |
초록 |
: |
Foucault's resurrection of Bentham's
panopticon was in large part also a re-elaboration of Max
Weber's 'iron cage' thesis about bureaucratic, capitalist
society, this time for an increasingly media-saturated age.
To be sure, the power of surveillance was presented by Foucault
as both coercive and productive where social relations were
concerned―he famously claimed to refuse any normative approach
to the topic―but... more
|
|
|
|
제목 |
: |
Relative that as a wh-operator |
저자 |
: |
김재윤 |
키워드 |
: |
relative that, complementizer, wh-operator |
다운로드 |
: |
nka_journal_2002_44_1_15_kimjaeyoon.hwp |
초록 |
: |
영어의 관계사 that은 전통적으로 (Quirk et. al. 1985),
또한 HPSG (Sag 1997), Word Grammar (Hudson 1990), 기능주의 접근 방법
(Van der Auwera 1985)에 있어서도 who, which와 더불어 관계대명사로 분류되어 왔다.
그러나 Government-Binding(GB)이론 (Chomsky 1981)에서는 보문자(complementizer)로서
(Bresnan 1970, Gregg 1972) 관계사 that을 재분석해 왔다. 하지만 본 논문에서는
보문자로서 재분석을 할 만한 그렇게 큰 이유가 없으며 관계사 that은 who와 which처럼 wh-운용자로서...
more
|
|
|
|
|
|
|
제목 |
: |
On Exceptional Case-Marking |
저자 |
: |
박미애 |
키워드 |
: |
exceptional Case-marking, in-situ, raising |
다운로드 |
: |
nka_journal_2002_44_1_17_parkmiae.hwp |
초록 |
: |
본 논문은 한국어 예외 격조사(exceptional Case-marking)에
대한 주요 두 설명, 즉 상위절(matrix clause) 상승이론(the raising account)과
하위절(embedded clause) 원위치이론(the in-situ account)을 살펴보고, 한국어의
예외 격조사의 특징들을 논의하여 보았다. 한국어의 예외 격조사 문장(exceptional Case-marking
construction)내에서, 예외 격조사를 지닌 명사구(ECMed NP)와 주격 조사를 지닌 명사구...
more
|
|
|
|
|
|
|
|